* 자료 해제 *
1. 자료 개요
-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학살 피해 지역에 건립되어 있는 추도시설(위령비, 집단묘지, 가족묘 등)과 추도시설은 없으나 베트남 정부가 피해 사실을 공인하고 있는 역사유적의 현황을 정리한 자료임.
- 총 106곳의 추도시설과 역사유적이 포함된 이 자료를 통해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학살 사건 총 63건, 총 희생자 4,653명이 파악됨. 베트남 중부에서는 최근에도 피해·유가족들의 역사유적 등록 신청과 추도시설 건립이 이어지고 있음.
- 추도시설 유형별 현황: 위령비 50곳, 위령관 5곳, 증오비·죄악증거비 5곳, 제단 3곳, 증오탑 1곳, 사당 1곳, 집단묘지 13곳, 가족묘 7곳, 우물 2곳, 탑 2곳, 역사유적 17곳 등 총 105곳.
2. 목록에 포함된 추도시설과 역사유적
- 한베평화재단이 피해 지역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한 추도시설과 학살 피해 관련 역사유적 자료를 통해 확인한 자료임. 학살 피해 희생자의 개인묘는 제외하였음.
- 표의 항목에서 ‘역사유적’은 현재 건립된 추도시설은 없으나 베트남 지방 정부가 학살 피해 사실을 조사하고 인정하여 역사유적으로 지정한 것을 뜻함. 이곳들은 향후 추도시설이 건립될 가능성이 있음.
- 관리 문제, 개보수 등으로 현재는 사라졌으나 사진, 신문 기사, 문헌 기록을 통해 존재를 입증할 수 있는 증오비 등의 추도시설은 포함했음.
3. 자료의 출처
- 각 자료의 출처를 ‘한베평화재단 아카이브’, ‘학살 피해 자료집’, ‘○○성 역사문화유적’, ‘유가족 증언’ 등으로 간략하게 기재함.
1) 한베평화재단 아카이브: 한베평화재단 홈페이지 ‘기억과기록’에 공개된 한국군 학살 피해 관련 추도시설.
2) 학살 피해 자료집: 한베평화재단 홈페이지 ‘문헌자료’의 “한국군 민간인학살 관련 베트남 문헌자료 목록”에 공개된 자료로 베트남 정부 기관이 생산한 문건임. 한국군 학살 피해 조사, 역사 유적 지정, 추도시설 건립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.
3) 각 성의 역사문화유적 목록: 각 성 인민위원회의 홈페이지나 공문으로 공개한 역사문화유적 목록을 통해 확인한 한국군 학살 피해 역사 유적.
4) 유가족 증언: 베트남 지방 정부가 역사유적으로 지정하지 않았지만 한베평화재단이 확보한 유가족의 증언을 통해 학살 관련 유적이 있음을 확인한 경우.
5) 기타: 지방 인민위원회 홈페이지, 베트남 현지 언론 보도 등
- 건립 시기가 추도시설물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 인민위원회 관계자나 피해자·유가족 인터뷰, 언론 보도 등을 통해 건립 시기를 확인했음.
4. 기타
- 희생자 수는 추도시설이 밝히고 있는 ‘희생자 수’를 적거나 추도시설 관련 베트남 정부의 공식 자료에서 밝히고 있는 희생자 수를 기재함.
- 베트남 중부 학살 피해 지역의 추도시설 건립이나 역사유적 지정은 앞으로도 계속 추진될 것으로 보여 주기적인 현지 조사나 자료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.
# 홈페이지 게시판의 한계로 원자료에 포함되어 있던 자료 출처와 비고 내용을 제외하고 올림. 첨부파일에서 자료 출처와 비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.